담마빠다 제25장
25 - 360
눈으로 보는 것을 억제함은 착한 일
착한 일은 귀로 듣는 것을 다스리는 것.
코로 냄새 맡는 것을 다스림은 착한 일
착한 일은 혀로 맛을 봄을 다스리는 것.
25 - 361
몸의 행동을 억제함은 착한 일
착한 일은 언어를 억제하여 다스리는 것.
마음을 억제하여 다스림은 착한 일
착한 일은 일체 행동을 다스리는 것
일체 행동을 다스리는 빅쿠는
모든 둑카로부터 해탈한다.
25 - 362
그는 손과 발을 잘 다스리고
언어를 다스리고 자기를 완전히 다스린다.
그는 내적 현상 관찰 수행을 즐겨
마음을 고요히 하고 홀로 지내며 만족할 줄 아나니
그를 빅쿠라 부른다.
25 - 363
빅쿠가 혀를 다스려 지혜롭게 말하고
마음을 고요히 하여
경의 의미를 잘 설명하되 교만하지 않다면
그 설법은 듣기에 매우 즐거우리.
25 - 364
빅쿠가 담마에 안주하여 담마 속에서 기쁨을 얻고
담마에 항상 마음을 집중하는 수행을 하고
담마의 깊은 뜻을 잘 기억하고 있으면
진실한 담마로부터 멀어지지 않는다.
25 - 365
자기 능력에 따라 얻어진 것을 경멸하지 말고
남이 얻은 것을 부러워하지 말라.
남이 얻은 것을 부러워하는 빅쿠는
사마디를 성취하지 못하나니.
25 - 366
자기 능력에 따라 적게 받은 것을
경멸하지 않는 빅쿠를
천상의 왕들도 칭찬하나니
그런 검박한 생활에 게으름은 없다.
25 - 367
몸과 마음의 현상에 대해
[나], [나의 것]이라는 생각으로 집착됨 없이
그런 것이 진실로 존재치 않음을 슬퍼하지 않는
그런 사람을 진정 빅쿠라 부른다.
25 - 368
빅쿠가 고요히 자비 선정에 머물러
여래의 가르침에 기쁨을 가지면
마침내 평화로운 길에 이르러
모든 존재의 조건을 없애고
행복하리라.
25 - 369
빅쿠여, 네 배의 더러운 것을 모두 비우면
네 배는 가벼워 순조롭게 항해하리라.
또한 감각적인 욕망과 성내는 마음도 부숴 버릴지니
그러면 닙바나에 이르게 되리라.
25 - 370
다섯 가지 낮은 얽매임을 끊고
다섯가지 높은 얽매임을 포기하며
다섯 가지 힘을 계발하라.
빅쿠가 다섯 가지 얽매임에서 벗어나면
진실로 생사의 큰 물결을 거슬렀다 이르리.
25 - 371
빅쿠여, 마음을 집중시켜 선정을 닦아라
감각적 쾌락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라.
마음을 놓고 지내면 뜨거운 쉿덩어리를 삼키는 것
몸에 타는 듯 괴로운 그때에
아! 이것이 진정 둑카로구나 하고 울부짖게 되리라.
25 - 372
지혜가 부족한 자에게 선정을 불가능하고
선정의 성취 없이 지혜는 자라지 않는다
선정과 지혜를 함께 갖추면
그에게 닙바나는 진정 가깝다.
25 - 373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 머물라.
그러면 빅쿠는 마음의 평화를 얻고,
천상의 즐거움을 경험하며,
바른 진리의 깊은 뜻을 명확히 알리.
25 - 374
다섯 가지 모임의 순간순간
일어나고 사라짐을 언제나 바르게 관찰하면
기쁨과 행복을 얻게 되고
죽음을 초월하는 지혜를 성취하리.
25 - 375
이것이 슬기로운 빅쿠 생활을 시작하여
이 세상을 바르게 살아가는 길이다.
감각기관을 다스림, 적게 얻어도 만족함,
기본적인 계에 따라 청정하게 살아감.
25 - 376
누구든지 간에 착한 벗을 사귀어
바르게 행동하고 고상하게 살며
겸손하고 진실한 말씨를 쓰면
그로부터 많은 즐거움을 얻고
모든 둑카는 끝나리.
25 - 377
빅쿠들이여, 마치 자스민 꽃이 시들어
나무에서 떨어지듯
이와 같이 욕망과 성냄을 떨어뜨려라.
그러면 모든 고통에서 해탈하리니.
25 - 378
한 빅쿠가 있어 그 행동은 고요하고,
말씨도 고요하며, 생각은 평온하게 집중되어 있고,
세상의 모든 즐거움을 포기해 버렸다면
그를 가리켜 진실로 침착한 수행자라 부를 만하다.
25 - 379
오, 빅쿠여, 스스로
너 자신을 훈계하고 점검하라.
그리고 이 같은 방법으로 너 자신을 보호하고
마음을 집중시켜 나가라.
그러면 너는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으리라.
25 - 380
자기야말로 진정 자기의 의지처
(어찌 다른 사람을 의지처로 삼으랴?)
자기야말로 진정 자기의 안식처
그러므로 자기 자신을 잘 보살피라,
마치 장사꾼이 양마를 다루듯이.
25 - 381
빅쿠로서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해
신심이 깊고 기쁨이 가득하면
닙바나의 고요함에 이르러
모든 현상의 조건들을 다스려 행복하리라.
25 - 382
비록 나이 어린 빅쿠일지라도
스스로 열심히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행하면
이 세상을 광명으로 빛나게 한다,
마치 구름을 벗어난 달처럼.
담마빠다 제26장
26 - 383
힘찬 노력으로 욕망의 흐름을 끊어라
감각적 쾌락 또한 제거하라.
이 몸은 반드시 사라진다는 것을 깨닫고
닙바나에 이르는 사람이 브라흐마나이다.
26 – 384
두 담마를 수행하여
그 한계를 넘었을 때
브라흐마나는 자기가 모든 얽매임에서
벗어났음을 깨닫게 된다.
26 - 385
그에게는 이 언덕도
저 언덕도 없어서
모든 불안과 초조, 집착과 번뇌가 다했다.
그때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고 부른다.
26 - 386
그는 고요한 곳에서 선정을 닦아 청정하고
자기의 해야 할 일을 마쳤으며
위없는 목표를 성취했다.
그때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고 부른다.
26 - 387
낮에 밝게 빛나는 것은 태양이요
밤에 빛나는 것은 달
왕은 차려 입었을 때 빛나고
수행자는 선정에 들었을 때 빛난다.
그러나 부처님만은 낮이나 밤이나
항상 찬란히 빛나는 것이다.
26 - 388
악을 없이 함이 브라흐마나요,
고요히 마음 집중함이 수행자,
타락의 더러움을 없이 하였기에
그를 일러 집을 떠난 빅쿠라 부른다.
26 - 389
누구건 브라흐마나를 때려서는 안 된다.
그러나 또한 브라흐마나를
때린 자에게 성을 내어서도 안 된다.
브라흐마나를 때린 것은 자기를
때린 자에게 성내는 것이다.
26 - 390
브라흐마나로서 자기의 마음에 숨은
성내는 마음을 끊지 못하면 이익 없는 것.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억제하는 그만큼
모든 둑카 또한 곧 사라지나니.
26 - 391
그는 몸으로나 언어로나 또 마음으로 써
일체 악을 행치 아니 한다.
이 같은 세 가지를 잘 다스리는
그런 사람을 나는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392
만일 누군가로부터 정각자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웠거든
공손한 태도로 스승께 예배하라.
마치 제사지내는 브라흐만이 불을 예배하듯이.
26 - 393
헝클어진 머리에 의해서도 아니오
가문의 전통에 의해서도 아니며
출생의 신분에 의해서 브라흐마나가 되는 것도 아니다.
오직 진리를 깨달아 담마의 삶에 의해
청정해졌을 때 그는 브라흐마나인 것이다.
26 - 394
어리석은 자여,
무엇 때문에 헝클어진 머리를 하고 있으며
무엇 때문에 꽃사슴 털가죽 옷을 입고 있느냐?
네 마음은 번뇌 가득한 밀림이거늘
너는 단지 겉만 깨끗한 척 번지르르하구나.
26 - 395
그는 마른 몸에 누더기 까사를 입고
힘줄이 온몸에 나타나 보이며,
숲 속에서 고요히 홀로 앉아 선정을 닦는다.
그런 사람을 나는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396
브라흐만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고 하여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르지 않는다.
그가 물질에 집착되어 있다면
그를 보와디 브라흐만이라 부를 뿐
그러나 그가 소유가 없고 애착에서 벗어난다면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397
일체의 모든 억매임을 끊어
두려움 없고, 모든 집착에서 벗어났으며
번뇌로부터 자유로운 사람,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398
몸에 묶인 줄과 멍에를 끊고
고삐의 줄을 잘랐으며
장애를 던져 버려 깨달음을 성취했을 때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399
그는 꾸짖음 욕설 결발 매질을
착한 마음과 용서로 견디고 버티어
인욕의 힘이 강하기가 잘 무장된 병사와 같다.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0
그는 성내지 않고, 수행에 근실하고,
계행에 덕이 높고, 교만하지 않고,
감각기관을 잘 다스려, 태어남이 마지막이 되었다.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1
마치 연꽃 위의 물방울 같고
뽀족한 송곳 끝 위의 겨자 씨같이
조금의 감각적 쾌락의 더러움에도 머물지 않는다.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2
그는 둑카가 금생으로 끝났음을 바르게 이해하고,
칸다스의 부담을 완전히 덜었으며
모든 번뇌로부터 자유롭다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3
그는 지혜가 깊고 현명하여
도에 있어 바른 것과 그른 것을
잘 판단하는 지혜를 갖추었고
위없는 목표를 잘 성취하였다.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4
그는 스스로 초연하여
재가 신자나 출가 빅쿠와 함께 섞이지 않고
홀로 자유로이 거쳐 없이 수행하면서
적은 것에 만족하여 욕심이 없었다.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5
그는 크고 작은
모든 생명을 괴롭히는 무기를 던져 버렸나니
생명을 해치지 않고
해치는 원인도 만들지 않았다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6
원한을 품을 만한 자들에게 원한을 품비 않고
폭행하는 자들을 용서와 평화로 대하며
집착된 자들 속에서 집착이 없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7
그에게는 욕망도 분노도
교만도 위선도 모두 떨어져 나가서
마치 겨자 씨가 송곳 끝에 떨어지듯 하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8
그의 말씨는
온화하고 교훈적이며 진실하여
어느 누구든 위협하는 법이 없으며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09
누구든 간에
그것이 길거나 짧거나
고운 것이거나 거친 것이거나
좋은 것이거나 나쁜 것이거나
남이 주지 않는 물건을 갖지 않는다면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0
이 세상과 다음 세상에 대해
그 어떤 욕망을 구함도 없고
모든 번뇌와 갈망과 집착에서 벗어나면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1
그는 욕망을 구함이 없고
사성제의 진리를 깨달아 의심이 없으며
닙바나를 성취하여 죽음을 초월하였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2
그는 세상의 선과 악
양쪽 모두의 얽매임에서 벗어났고
마음에 슬픔이 없고 때 묻지 않아 청정하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3
마치 달처럼 맑고 순수한 그는
마음도 맑고 밝으며 깨끗하고 고요하다
즐거움과 존재의 욕망을
흔들림 없이 파괴해 버렸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4
그는 위험한 고난의 길을 여행하여
생사의 큰 바다 무지의 어두움을 벗어나
저 언덕에 이르렀으며
오온의 현상 관찰로 선정을 이루어 집착이 없고
의심과 갈이로부터 벗어나 닙바나를 성취했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5
세상의 감각적인 쾌락을 포기하고
집을 떠나 빅쿠가 되어
존재의 욕망을 완전히 파괴해 버린 사람
나는 그를 브라흐마라 부른다.
26 - 416
세상의 모든 욕망을 포기하고
집을 떠나 빅쿠가 되어
욕망의 뿌리를 완전히 파괴해 버린 사람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7
인간계의 얽매임도 버리고
천상계의 얽매임도 벗어나
모든 얽매임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람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8
그는 좋아함과 싫어함을 떠나
모든 번뇌를 다스려 고요해졌고
이 세상을 정복하여 용맹스럽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19
그는 모든 중생의 태어나고 죽는 길을 알고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번뇌로부터 멀리 떠나 깨달음에 이르렀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20
그가 가는 길
천인도 인간도 알지 못한다.
모든 번뇌를 완전히 파괴하고
욕망에서 벗어났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21
그는 과거. 현재. 미래에 얽매이지 않고
물질의 소유에도 집착하지 않는다
시간에 얽매임이 없으며 집착에서 벗어났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22
두려움 없는 성자요, 영웅
위대한 스승이며, 욕망의 정복자
모든 번뇌에서 벗어난 청정한 진리를 깨달았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26 - 423
그는 성자로서 자기의 전생을 알고
천상과 지옥의 상태를 바라보며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경지에 이르렀고
도와 과를 성취한 대장부로서
일체의 지혜를 완성하여
모든 욕망을 다스려 청정하나니
나는 그를 브라흐마나라 부른다.
'빠알리어 경전 > 담마파다 (법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마빠다 제23장, 제24장 (1) | 2023.09.22 |
---|---|
담마빠다 제21장, 제22장 (0) | 2023.09.22 |
담마빠다 제19장, 제20장 (길의 품) (1) | 2023.09.22 |
담마빠다 제17장, 제18장 (0) | 2023.09.22 |
담마빠다 제15장, 제16장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