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쌍윳따 니까야

S45:171-S45:180. 제45상윳따 - 제16장 거친 흐름 품 (Ogha-vagga)

Daisy청량심 2023. 6. 23. 05:12

-     폭류 경

-     속박 경

-     취착 경

-     매듭 경

-     잠재성향 경

-     감각적 욕망의 가닥 경

-     장애 경

-     무더기 경

-     낮은 단계의 족쇄 경

-     높은 단계의 족쇄 경

 

 

폭류 경(S45:171) Ogha-sutta

 

3. “비구들이여, [59] 네 가지 폭류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욕망의 폭류, 존재의 폭류, 견해의 폭류, 무명의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가 있다."

 

4.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를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말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말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를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말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말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를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말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말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말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말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말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생계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정진을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싸띠를 닦는다.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를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속박 경(S45:172) Yoga-sutta

 

3. “비구들이여, 네 가지 속박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욕망의 속박, 존재의 속박, 견해의 속박, 무명의 속박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속박이 있다.”

 

4.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속박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취착 경(S45:173) Upādāna-sutta

 

3. “비구들이여, 네 가지 취착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욕망에 대한 취착, 견해에 대한 취착, 계율과 의례의식에 대한 취착[戒禁取],

자아의 교리에 대한 취착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취착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취착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매듭 경(S45:174) Ganthā-sutta

 

3. “비구들이여, 네 가지 매듭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간탐의 몸의 매듭, 악의의 몸의 매듭, 계율과 의례의식에 대한 취착의 몸의 매듭,

이것만이 진리라고 천착하는 몸의 매듭이다.156)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매듭이 있다.”

 

156) '몸의 매듭(kāya-gantha)'이란 정신적인 몸(nāma-kāya)의 매듭이니 매듭짓고 얽어매는 오염원(ganthana-ghaana-kilesa)을 말한다.(SA.ii.137)

매듭짓고 얽어매는 오염원(ganthana-ghaana-kilesa)이란 원인(hetu)을 결과(phala)에 얽어매고 업의 회전(kamma-vaṭṭa)을 과보의 회전(vipāka-vaṭṭa)에 얽어매어서 괴로움에 묶어버리는 것이라고 알려진 것(dukkha-ppabandha-saññita)을 뜻한다.(SAT.iii.121)

네 번째인 '이것만이 진리라고 천착하는 몸의 매듭' idam-sacca-abhinivesa kāya gantha를 옮긴 것이다.

 

4. “비구들이여, [60] 이러한 네 가지 매듭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잠재성향 경(S45:175) Anusaya-sutta

 

3. “비구들이여, 일곱 가지 잠재성향이 있다. 무엇이 일곱인가?

감각적 욕망의 잠재성향,157) 적의(敵意)의 잠재성향, 자만의 잠재성향, 사견(邪見)의 잠재성향, 의심의 잠재성향, 존재에 대한 탐욕의 잠재성향, 무명의 잠재성향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일곱 가지 잠재성향이 있다.”

 

157) 활력을 얻는다는 뜻(thāmagataṭṭha)에서 감각적 욕망 자체가 잠재성향이기 때문에 '감각적 욕망의 잠재성향(kāmarāga-anusaya)'이라고 한 것인데 나머지 경우에도 다 적용된다. (SA.iii.137)

이것은 조건을 얻으면(sati paccaya-lābhe) 생겨날 수 있기(uppajjana-arahatā) 때문에 [정신적흐름에 잠재해 있다(santāne anuseti)고 해서 감재성향이라 한다.(SAȚ.iii.121)

 

4. “비구들이여, 이러한 일곱 가지 잠재성향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감각적 욕망의 가닥 경(S45:176) Kāmagua-sutta

 

3. “비구들이여, 다섯 가닥의 감각적 욕망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으로 인식되는 형상들이 있으니,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감각적 욕망을 짝하고 매혹적인 것들이다.

로 인식되는 소리들이 있으니, … 로 인식되는 냄새들이 있으니, …

로 인식되는 맛들이 있으니, … 으로 인식되는 감촉들이 있으니,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감각적 욕망을 짝하고 매혹적인 것들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닥의 감각적 욕망이 있다.”

 

4.“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닥의 감각적 욕망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장애 경(:45:177) Nīvaraa-sutta

 

3.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장애가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감각적 욕망에 대한 욕구의 장애, 악의의 장애, 해태 · 혼침의 장애,

들뜸 · 후회의 장애, 의심의 장애이다.158)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장애가 있다.”

 

158) 다섯 가지 장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네 가지 마음챙기는 공부』 214~228쪽과 본서 제6 「혼란스러움 경」(S54:12) §4의 주해를 참조할 것.

 

4.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장애를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무더기[(S45:178) Khanda-sutta

 

3. “비구들이여, 취착의 [대상이 되는다섯 가지 무더기[五取蘊]가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취착의 [대상이 되는] 물질의 무더기, 취착의 [대상이 되는] 느낌의 무더기, [61]

취착의 [대상이 되는] 인식의 무더기, 취착의 [대상이 되는] 심리현상들의 무더기,

취착의 [대상이 되는] 알음알이의 무더기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취착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무더기가 있다.”

 

4. “비구들이여, 이러한 취착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무더기를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낮은 단계의 족쇄 경(S45:179) Orambhāgiyasayojana-sutta

 

3.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下分結]159)가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159)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五下分結, pañca orambhāgiyāni sayojanāni]는 존재를 욕계(kāma-dhātu)에 묶어두는 족쇄이다이 가운데 처음의 셋은 예류자와 일래자에 의해서 제거되고 다섯 가지 모두는 불환자에 의해서 제거된다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와 다음 경의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를 합쳐서 열 가지 족쇄(sayojana)라 부른다열 가지 족쇄에 대한 설명은 본서 제1 「얼마나 끊음 경」 (S1:5) {8}의 주해를 참조할 것.

 

유신견(有身見), 의심계율과 의례의식에 대한 취착감각적 욕망악의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가 있다.”

 

4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를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 ”

 

 

높은 단계의 족쇄 경(S45:180) Uddhambhāgiyasayojana-sutta

 

3.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上分結]160)가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160)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五上分結, pañca uddhambhāgiyāni sayojanāni]'는 존재를 색계(rūpa-dhātu)와 무색계(arūpa-dhātu)에 묶어두는 족쇄인데이 둘은 각각 네 가지 (jhāna) 즉 색계 사마디와 네 가지 무색의 증득(공무변처부터 비상비비상처까지의 무색계 사마디)을 통해서 도달하게 된다오직 아라한만이 이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들을 모두 제거한다.

 

색계에 대한 탐욕, 무색계에 대한 탐욕, 자만들뜸무명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가 있다.”

 

4.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를 [62]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어떤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쳐버림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탐욕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성냄의 길들임으로 귀결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으로 귀결되는 

불사(不死)로 귀결되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

바른 사마디를 닦는다. …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를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철저히 알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멸진하기 위해서는 …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를 닦아야 한다.”

 

 

제16장 폭류 품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