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앙굿따라 니까야

A5:11-A5:20 제2장 힘 품(Bala-vagga)

Daisy청량심 2023. 6. 12. 03:49

-            전에 들어 보지 못함 경

-            누각 경

-            간략함 경

-            상세함 경

-            보아야 함 경

-            다시 누각 경

-            이익 경1

-            이익 경2

-            이익 경3

-            이익 경4

 

 

상세함 (A5:14)  Vitthata-sutta

앙굿따라니까야 3(대림스님, 초기불전연구원, 2007) p.65-68

 

1. “비구들이여다섯 가지 [五力(오력)]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2. “믿음 정진 , 사티 사마디 반야 힘이다.”

3.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믿음의 힘인가?

 비구들이여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여래의 깨달음에 믿음을 가진다.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應供(응공)]이시며,

완전히 깨달은 [正等覺(정등각)]이시며,

명지와 실천을 구족한 [明行足(명행족)]이시며,

피안으로 가진 [善逝(선서)]이시며,

세간을 알고 계신 [世間解(세간해)]이시며,

가장 높은 [無上士(무상사)]이시며,

사람을 길들이는 [調御丈夫(조어장부)]이시며,

하늘과 인간의 스승[天人師(천인사)]이시며,

깨달은 [()]이시며,

세존(世尊)이시다.’라고.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믿음의 힘이라 한다.”

 

4.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정진의 힘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해로운 [불선법(不善法)]들을 제거하고 유익한 [선법(善法)]들을 두루 갖추기 위해서 열심히 정진하며 머문다. 그는 굳세고 분투하고 유익한 법들에 대한 임무를 내팽개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정진의 힘이라 한다.”

 

5.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사티의 힘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사티를 확립하는 자이다. 그는 최상의 사티와 슬기로움을 구족하여 오래 전에 행하고 오래 전에 말한 것일 지라도 모두 기억하고 생각해낸다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사티의 힘이라 한다.”

 

6.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사마디의 힘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욕망들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不善法(불선법)]들을 떨쳐버린
일으킨 생각[()] 지속적 고찰[()] 있고, 떨쳐버렸음에서 생긴 희열[()] 행복[()] 있는 초선(初禪) 들어 머문다.

 

  일으킨 생각[()] 지속적인 고찰[()] 가라앉혔기 때문에 [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이 있으며, 마음의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은 없고사마디에서 생긴희열과 행복이 있는 2(二禪) 들어 머문다.

 

  희열이 빛바랬기 때문에 평정하게 머물고, 사티(sati) 확립하고 알아차리며[正念正知(정념정지)] 몸으로 행복을 경험한다. [() 때문에] ‘평정하고 사티(sati) 확립하고 행복하게 머문다.’ 성자들이묘사하는3(三禪) 들어 머문다.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을 소멸하였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정으로 인해 사티(sati) 청정한 4(四禪) 들어 머문다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사마디의 힘이라 한다.”

 

7.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반야의 힘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반야를 가졌다그는 일어나고 사라짐을 꿰뚫고, 성스럽고, 반야가 있고, 바르게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반야를 반야로 구족하였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반야의 힘이라 한다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힘이 있다.”

 

 

보아야함 (A5:15)  Daṭṭhabba-sutta

앙굿따라니까야 3(대림스님, 초기불전연구원, 2006) p.68~69

 

1. “비구들이여다섯 가지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2. “믿음 , 정진의 사티 사마디 반야 힘이다.”

3.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디서 믿음의 힘을 보아야 하는가?

  가지 예류도를 얻기 위한 구성요소 2)에서 보아야 한다. 여기서 믿음의 힘을 보아야 한다.”

 

---------< > ----------------------------------------------
2)
, , , 삼보에 대한 믿음과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구족함.
--------------------------------------------------------------------

4.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디서 정진의 힘을 보아야 하는가?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사정근)]에서  보아야 한다. 여기서 정진의 힘을 보아야 한다.”

 

5.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디서 사티의 힘을 보아야 하는가?
가지 사티의 확립[四念處(사념처)]에서 보아야 한다. 여기서 사티의 힘을 보아야 한다.”

6.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디서 사마디의 힘을 보아야 하는가?

가지 [四禪(사선)]에서 보아야 한다. 여기서 사마디의 힘을 보아야 한다.”

 

7.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디서 반야의 힘을 보아야 하는가?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사성제)]에서 보아야 한다. 여기서 반야의 힘을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