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위라 경
- 수시마 경
- 깃발 경
- 웨빠찟띠 경
- 금언의 승리 경
- 새의 보금자리 경
- 해치지 않음 경
- 아수라 왕 웨로짜나 경
- 숲은 선인 경
- 바다의 선인 경
웨빠찟띠 경(S11:4) S1 p708 Vepacitti Sutta
8. [삭까]
“나의 적이 성난 것을 알면
싸띠를 확립하고 고요함을 유지하는 것이
어리석은 자를 다스리는 것이라고
나는 그렇게 생각하노라.”
9. [마딸리]
“와사와여, 인내하는 것에 대해
저는 이런 허물을 봅니다.
‘두려움 때문에 나를 견디는구나.’라고
어리석은 자가 일단 이렇게 생각하면
멍청한 그 자는 더욱 날뛰옵니다.
도망치는 자에게 소가 더욱 그러하듯.”
10. [삭까]
“‘두려움 때문에 나를 견디는구나.’라고
그가 생각하든 아니든
자기의 최상의 이익들 가운데서
인욕보다 뛰어난 것 어디에도 없도다.
힘 있는 자가 힘없는 자에 대해서
감내하고 참는 것
그것이 최상의 인욕이라 말하나니
힘없는 자는 항상 인욕해야 하도다.
어리석은 자의 힘은
힘이 아니라고 말하도다.
정의로움(법)을 보호하는 힘 있는 자는
아무에게도 비난받지 않도다.
화내는 자에게 다시 화를 내면
그 때문에 그가 사악해지지만
화내는 자에게 다시 화내지 않는 것은
이기기 어려운 전쟁에서 이기는 것이로다.
남이 성난 것 알면 싸띠를 확립하고 고요함을 유지하는 것이
자신과 남 둘 다의 이익을 실천하는 것이라네.
자신과 남 둘 다를 치유하는 것을 두고
바른 법에 능숙하지 못한 사람들은
어리석다고 생각하도다.”
11. “비구들이여, 이처럼 참으로 신들의 왕 삭까는 자신의 공덕의 결실로 삶을 영위하면서 삼십삼천의 신들에 대한 통치권을 가져 지배력을 행사하지만, 그런 그도 인욕과 온화함을 칭송하고 있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그대들은 이처럼 잘 설해진 법과 율에 출가하여 인욕을 닦아야 하고 온화함을 닦아야 하나니, 이보다 더 그대들에게 어울리는 것이 어디에 있겠는가?”
아수라왕 웨로짜나 경(S11:8) S1 p717 Verocanāsurinda Sutta
4. [삭까]
“목표를 성취할 때까지
사람은 노력을 해야 하나니
목표는 성취될 때 빛나지만
인욕보다 뛰어난 것은 어디에도 없도다.”
5. [웨로짜나]
“중생들은 모두 다 여기저기 치달리며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려 몰두하지만
서로 간에 나누는 친밀한 교제야말로
모든 생명 추구하는 즐거움 가운데 으뜸
목표는 성취될 때 빛나는 것
이것이 웨로짜나의 말이로다.”
6. [삭까]
“중생들은 모두 다 여기저기 치달리며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려 몰두하지만
서로 간에 나누는 친밀한 교제야말로
모든 생명 추구하는 즐거움 가운데 으뜸
목표는 성취될 때 빛나지만
인욕보다 뛰어난 것은 어디에도 없도다.”
'빠알리어 경전 > 쌍윳따 니까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12:11-S12:20. 제12상윳따 - 제2장 음식(자양분) 품(Ahara vagga) (1) | 2023.05.25 |
---|---|
S12:1 - S12:10. 제12상윳따 - 인연 상윳따(Nidana samyutta) - 제1장 부처님 품(Buddha-vagga) (0) | 2023.05.25 |
S10:1-S10:12. 제10상윳따 - 약카(야차) 상윳따(Yakkha samyutta) (0) | 2023.05.25 |
S9:1-S9:14. 제9상윳따 - 숲 상윳따(Vana samyutta) (0) | 2023.05.25 |
S7:1-S7:10. 제7상윳따 - 바라문 상윳따(Brahman samyutta) 제 1장 아라한 품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