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테라가타(장로게경)

장노게 - 일게집 (1-120)

Daisy청량심 2024. 3. 14. 04:03

출처: 붓다의 옛길

https://gikoship.tistory.com/category/%EC%9E%A5%EB%85%B8%EA%B2%8C%28%EC%9E%A5%EB%A1%9C%EA%B2%8C%29

 

장로게

빠알리경 5부중 마지막 5부인 쿳다까 니까야, Khuddaka Nikaya (소부, 小部 ) 8번째 경이다

장로게경(長老偈經 Theragatha).(341)

'장로의 게송'이다. 107명의 장로들의 시 1279수가 실려있다.

 

서게(序偈)

 

1. 산간의 속에서 외치는

   어금니 가진 사자처럼

   마음을 수련한 사람들,

   사람 사람의 게송을 들으라.

2. 이름과 () 알맞고

   뜻과 법을 따라서

   머무르는 지혜로운 분들은

   게으름 없이 살아가나니

 

 

3. 마지막 성취를 생각하는 사람들

   이들은 온갖 것을 관찰하고

   멸하지 않는 길에 이르러

   이러한 이치들을 연설하였네.

 

1. 일게집(一偈集)

 

1

 

1.<Subhū-­tit­ thera>

내가 사는 지붕은 이어져

바람을 막아 즐거웁나니

하늘아, 마음대로 비를 내려라.

마음은 () 머물러 해탈하였네.

알뜰한 마음으로 나는 살아가거니

하늘아, 마음대로 비를 내려라.

 

2.<Mahā-­kohi-­kat ­thera>

적정(寂靜) 도달하고 휴식에 돌아가고

주문(呪文) 외우되 경박하지 않으며

삿되고 나쁜 법을 떨어 버리기

바람이 나무잎을 떨구 했네.

 

3.<Ka-­khā­-re-­vatat thera>

부처님의 지혜를 보라.

중에 놓은 등불 같구나.

여기 오는 이들은 의심을 버리나니

부처님은 광명과 눈을 주시네.

                                                                                

 4. <Puṇṇat ­thera>

착한 사람과  많이 아는 사람과

이익을 사람과 교제를 맺고,

광대하고 심원하며 미묘하고 미세한

보기 어려운 이익은

부지런하고 눈이 밝은

지혜로운 사람만이 얻을 있네.

                                                                                   

5.<Dabbat ­thera>

다루기 어려움을 다룸으로써

다루어진 타표(陀驃)

마음이 흐뭇하고 의혹을 끊었나니

나는 하나의 승리자로서

모든 두려움을 떨어 버리었거니

열반 얻어 마음이 편안하기 때문일세.

                                                                               

6.<Sīta-­vaniyat ­thera>

비구로서 한림(寒林)으로 나아가

혼자서 만족하고 선정에 머무르는

그는 승리자이요

두려움을 버리고 몸과 생각 지키는

그이는 또한 견고한 사람이다.

       

7.<Bhal-­liyat ­thera>

홍수가 약한 갈대 뚝을 무너뜨리

죽음의 왕의 군사 물리치는 사람은

승리자로서 두려움을 버렸거니

그는 스스로 다루어

열반 얻어 마음이 편안하기 때문이네.

        

8.<Vīrat ­thera­>

다루기 어려움을 다룸으로써

다루어진 용사는

마음이 흐믓하고 의혹을 끊었나니

나는 하나의 승리자로서

모든 두려움 떨어 버리고

열반을 얻어 마음이 편안하네.

 

9.<Pilinda-­vacchat ­thera>

분별 모든 중에서

가장 훌륭한 법에 나는 도달하였네.

이것은 내가 것이요 잘못 아닐세.

나는 이것 생각하면 잘한 것이네.

                                                                                         

10.<Puṇṇamā-­sat­ thera>

베다에 통하고 적정에 도달하고 스스로 제어하여

이승과 저승에서 욕망을 버린 사람

그는 어떤 법에도 물드는 일이 없이

일고 사라지는 세상 일을 아네                                                                                      

 *베다 : 리츠베이츠 夫人은 '진리에 몸을 맡긴 '라고 번역하고 있으며

(Vedagu), 귀절은 진리에 대해 '완전히 숙련한 사람' 노래한 것임.

    

11.<Cūa-­vacchat ­thera>

부처님께서 말씀해 보여 주신

법을 매우 기뻐하는 사람은

() 적정(寂靜) 모든 () 적멸과

그리고 안락을 얻으리라.

                                                                                       

12.<Mahā-­vacchat ­thera>

지혜의 힘이 있고 계행이 있고

선정에 들어 생각하기 즐기며

음식에 있어서 적당한 분량 먹고

탐욕 버리어 오기를 기다리라.

                                                                                         

13.<Vana-­vacchat ­thera>

푸른 구름의 빛이 있어 아름답고

차고도 맑은 물이 넘치는 못이 있고

인다고오바카 벌레에 덮여 있는

이들 바위산은 나를 즐겁게 한다.                                                                            

 *Indagupaka (因陀羅) : 제석천을 보호하는 벌레의 일종.

붉은 빛깔 또는 빛깔을 가지고 있음

 

14.<Sivaka-­sāma-­era: Vana vacchat thera  사미>

스승님은 내게 말씀하셨다.

시이바카여, 나는 여기서 떠나련다.

몸은 마을에 있으나 마음은 숲속으로 달린다.

비록 피로하지만 여기서 떠나련다.

지혜로운 사람에게는 애착이 없다 라고.

 

15. <Kuadhānat ­thera>     

다섯 가지의 하분결(下分結.낮은 단계의 족쇄) 끊고

다섯 가지의 상분결(上分結.높은 단계의 족쇄) 끊고

다시 다섯 가지 감관을 수련하라.

다섯 가지 집착을 넘은 비구는

사나운 물을 건넌 사람이라 불리운다.

                                 

16.<Belaṭṭha-­sī­-sat ­thera>

종자가 훌륭하고 성질이 좋은 소는

보습을 끄을 때도 피로가 적고

한결같이 안락을 얻는 것처럼

탐욕을 버린 나는 밤이나 낮이나

살아가기에 피로가 적네.

 

17. <Dāsa-kat­ thera>

게을러 불리 먹고 편히 잠자고

딩굴며 누어 있는 어리석은 사람은

주는 먹고 길리워지는 돼지처럼

번이고 계속해 어미 태에 든다.

                                                                           

18.<Si­-gālapi-­tut ­thera>

베에사카라아 속에 있는

비구는 부처님 상속자일세.

오직 골상관(骨想觀)으로 땅덩이를 보나니

탐욕이라 생각하던 모두 없어졌네.

                                                                                         

19.<Kulat ­thera>

대는 사람은 물을 끄을고

만드는 사람은 화살 바루며

목수장이는 재목을 굽히고

덕행 닦는 사람은 스스로를 다룬다.

                                                                

20.<Ajitat ­thera>

내게는 죽음의 두려움 없고

내게는 삶의 욕망도 없네.

오직 지각과 바른 생각 있거니

다섯 가지 요소로 몸을 버릴려네.

 

21.

나는 두려운 것도 두려워하지 않고

스승님은 죽지 않는 길을 아시네.

어떠한 두려움도 없는 길이라

비구들은 모두 그 길을 따라가네.                                                                                      

22.<citta-­kat ­thera=""></citta-­kat>

푸른 빛깔 고운 목과 벼슬을 가진 공작이

카아라바 숲 속에서 부르짖을 때

차거운 바람 같은 그들 소리는

선정에 들어 있는 내 잠을 깨우네.                                                                              

 

23.<gosālat­ thera=""></gosālat­>

나는 우거진 대숲 속에서 맛난 젖죽을 먹고

다섯 가지 요소의 기멸(起滅)을 생각하며

번뇌를 떠나기에 마음을 오로지

저 산꼭대기를 차지해 얻으리라.                                                                                   

 

24.

나는 집을 떠난지 한 해가 못 찼지만

법의 좋은 성품을 잘 보았거니

나는 이미 세 가지 밝음을 통달하고

부처님의 교훈을 성취하였네.                                                                                

 

25.<nandi-­yat ­thera=""></nandi-­yat>

그의 마음은 항상 빛을 내면서

아라한의 결과를 향해 가거니

악마여, 만약 그런 비구 해치면

너는 반드시 고통을 받으리라.                                                                            

 

26.

해의 종족인 저 부처님의

잘 말씀하신 그 교훈 듣고

나는 그 미묘한 법 증득했나니

마치 화살로 털 끝을 맞친 것 같이.                                                                                 

 

27.ṅ­-giyat ­thera> 

닷바풀, 쿠사풀, 포오타리카풀

우시이라 뿌리, 문쟈풀, 바빠쟈풀 등

번뇌를 떠나기에 마음을 오로지

내 가슴에서 그것들을 멀리하자.

 

28.<jambu-­gāmika-­puttat ­thera=""></jambu-­gāmika-­puttat>

너는 물욕에 마음 쓰지 않느냐

몸을 장식하기를 즐기지 않느냐

계와 덕의 향기는

네 자신이 보내는 것으로서

다른 사람이 보내는 것 아닐세.

                                                                                             

29.<hāritat ­thera=""></hāritat>

내 몸을 바루기를

활쏘는 사람이 화살을 바루듯 하고

그 마음을 꼿꼿이 가져

무명을 끊으라, 너 하아리타여.                                                                       

 

30.<utti­-yat ­thera=""></utti­-yat>

내게 병이 일어날 때

내게는 바른 생각 일지 않았다.

지금 내게 그 병이 일어났거니

내가 방일해서 될 때 아니다.                 

  

31.<gahvaratī-­riyat ­thera=""></gahvaratī-­riyat>

저 깊은 숲, 큰 숲 속에서

모기와 등애에 물리더러도

전장으로 나아가는 코끼리처럼

바로 생각 잃지 않고 거기서 살리.                                                                 

 

32.<sup-­piyat ­thera=""></sup-­piyat>

늙는 것으로써 늙지 않는 것과 바꾸고

몹시 괴로운 것으로써

편안과 최상의 적정과

저 위없는 안온과 바꾸자.                                                 

 

33.<sopākat ­thera=""> </sopākat>

어머니가 사랑하는 외아들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는 것처럼

그와 같이 어디서나 모든 중생들에게

그 자비를 베풀어 주라.                                                       

 

34.<posi-­yat­ ther=""></posi-­yat­>

친구가 있는 사람으로서

그들과 친하지 않는 이는 존귀하네.

나는 마을에서 숲으로 왔고

거기서 떠나 집에 왔다가

다시 거기서 떠나는, 이 포오샤는

아무 말 없이 떠나왔나니.                                                 

 

35.<sāmañ-­ña­kānit ­thera=""> </sāmañ-­ña­kānit>

안락을 원하고 바라는 사람은

이것을 행하여 안락을 얻으리라.

죽지 않는 경계에 이르기 위해

거룩하고 바른 여덟 가지 길을

닦아 익히는 그 사람은

이름을 날리고 칭찬을 얻으리라.                                                                

 

36.<kumā-­puttat­ thera=""></kumā-­puttat­>

듣는 것 좋고 행하는 것도 좋고

머무를 집이 없어 그 또한 좋고

이치와 이익 묻고, 오른쪽을 도는 예배를 행하는 것

이것은 무일물자(無一物者) 사문의 도(道)이니라.                                                              

 

37.쿠마의 아들 장로의 친구인 어느 장로>

스스로 제어하는 마음이 없는 사람

여러 나라 유행하며 선정을 잃네.

여러 나라 유행하여 무엇을 하려는가

부디 논쟁 버리고 홀로 선정을 닦아라.                                                            

 

38.<gavam­patit ­thera=""></gavam­patit>

신통으로 저 사라아부강을 막은

우뢰심이나 욕심이 없는 우주(牛主)

그는 모든 집착을 뛰어넘고

생존의 저 언덕에 이르렀거니

이 큰 신선을 하늘들은 예배하네.                                                          

 

39.

마치 저 창에 찔리는 것과 같고

머리털을 불에 불태우는 것 같으니 

바른 생각을 가진 비구는

탐욕 버리기 위해 나가 노닐라.                                                             

 

40.ḍḍha­-mānat ­thera>

마치 저 창에 찔리는 것과 같고

머리털을 불에 불태우는 것과 같으니

바른 생각을 가진 비구는

생존욕을 버리기 위해 나가 노닐라.                                                       

 

41.ḍḍhat ­thera>

베바라산과 반다바산의

저 바위굴 속에 번개가 치듯

이 돌도 없는 부처의 아들은

산의 굴 속에서 선정에 들어있다.                                                     

 

42.<kha-­di­-ra­vaniyat ­thera=""></kha-­di­-ra­vaniyat>

챠아라,우파챠아라, 시이스파챠아라여,

너희들은 부디 조심하라.

지금 여기 오신 분은

머리털을 쪼개는 듯한 어른이시다.                                      

*챠아라 사람은 장로의 생질로서 집을 떠난 사람들이다.

하루는 장로가 앓아 누웠을 사리뿟다 장로가 문병을 왔다.

장로는 사리뿟다 장로가 오는 것을 보고

생질들에게 게송으로 훈계한 것이다.

 

43.ṅga-­lat ­thera>

나는 잘 벗어났다. 잘 벗어났다.

낫과 보습과 작은 호미들

이 세 가지 굽은 물건에서 벗어나 좋구나.

비록 쓸데 없고, 쓸데 없거니

스망가라여, 생각[禪慮]을 모아라.

스망가라여, 생각을 모아라.

스망가라여, 정근하여라.

               

44.<sānut ­thera=""> </sānut>

어머니, 사람들은 살아서도 보이지 않고

혹은 죽은 사람을 탄식하고

어머니, 내가 지금 살아 있는 것을 보시면서

어머니, 어머니는 왜 나를 보고 우시는가.                                                                       

 

45.ṇī-­ya-­vihārit ­thera>

마치 저 뛰어나고 종자가 좋은 짐승

그가 쓰러져도 다시 일어서는 것처럼

바른 견해 갖춘 이, 다 옳게 깨달은 이의 제자

생(生)이 좋은 나를 부처님의 참 제자라고 보라.                                                                               

 

46.<samid-­dhit ­thera=""></samid-­dhit>

나는 믿는 마음으로 집을 떠나 수행승이 되어

바른 생각과 지혜는 늘고

내 마음은 좋은 선정에 머물러 있네.

악마여, 너는 네 마음대로 모양을 나타내라.

그것으로 나를 병들게 못하리라.                                                                         

 

47.

깨달으신 장부여, 나는 당신께 귀의합니다.

당신은 모든 곳에서 해탈하였습니다.

당신의 교훈 안에서 살아가는 나는

아무런 번뇌없이 살아갑니다.                                                                           

 

48.<sañ-­jayat ­thera=""></sañ-­jayat>

나 집을 떠나

출가한 몸이 된 뒤에

내게서 불건전하고 그릇된 생각이

일어나는 것을 알지 못하네.                                                                           

 

49.ṇeyya-­kat­ thera>

마왕아, 너 아무리 소리를 치고 울림을 놓아도

그 때문에 내 마음 흔들리지 않나니

그것은 내 마음이

한 경계를 즐기며 있기 때문이니라.

                                                                                         

50.

이 대지에는 큰 비가 쏟아지고

바람 불고 번개는 하늘을 달리지만

내게는 어떠한 의혹도 없고

내 마음은 편안히 선정에 들어 있도다.                                                             

  

51.<godhi-­kat ­thera=""></godhi-­kat>

비가 내려 그 소리 음률에 맞고

잘 덮인 내 집은 바람 막아 즐겁고

내 마음 선정에 들어 있나니

하늘아, 마음대로 비를 내려라.                                                            

 

52.<subāhut ­thera=""></subāhut>

비가 내려 그 소리 음률에 맞고

잘 덮인 내 집은 바람 막아 즐겁고

마음은 몸 안에서 선정에 들었나니

하늘아, 마음대로 비를 내려라.                                                  

 

53.<valli-­yat ­thera=""></valli-­yat>

비가 내려 그 소리 음률에 맞고

잘 덮인 내 집은 바람 막아 즐겁고

나는 여기서 정진하며 있거니

하늘아, 마음대로 비를 내려라.                                                            

 

54.<utti-­yat­ thera=""></utti-­yat­>

비가 내려 그 소리 음률에 맞고

잘 덮인 내 집은 바람 막아 즐겁고

나는 여기 아무도 없이 혼자 있거니

하늘아, 마음대로 비를 내려라.                                                        

 

55.<añjana-­vaniyat ­thera=""></añjana-­vaniyat>

안쟈나숲 속에 들어가

앉는 평상을 집[屋舍]으로 삼고

세 가지 밝음을 통달했거니

나는 부처님 가르침을 성취했네.

                                                                 

56.ṭi­-vihārit ­thera> 

이 초막 속에 있는 이 누구인가.

이 초막속에 있는 비구는 온갖 탐욕을 멀리 떠나고

마음은 좋은 정(定)에 들어 있나니

그러므로 그대는 그런 줄 알라.

초막 지은 그대 공덕 헛되지 않으리. 

* 초사 : 어느 장로는 밖에 나갔다가

비를 만나 어떤 초막에 들어가

비를 피하고 거기서 아라한과를 얻었다.

초막 주인이 와서 '그대는 누구냐' 물었을 ,

장로는 게송으로 대답했다.

 

57.ṭi­ vihārit ­thera>

너는 이 초사(초막)가 낡았다 하여

다시 새 초사를 얻으려 원하는가.

비구여, 그 초사의 욕심을 버려라.

새 초사는 다시 더 괴로우리라.                                              

 

58.ṇī-­ya-­kuṭikat ­thera>

신심으로 얻어진 내 초사(초막)는

즐겁고 또 사랑스럽네.

내게는 어린 딸들이 필요 없거니

부녀자들이여,

너희들을 필요로 하는 그들에게 가라.                                                               

 

59.<kosala-­vihārit ­thera=""></kosala-­vihārit>

나는 믿는 마음으로 집을 떠나와

이 숲 속에다 초막를 얽고

부지런히 정진하여 지각(智覺) 생기고

그 바른 생각을 잃지 않네.                                            

 

60.<sīvalit ­thera=""></sīvalit>

나는 할 일이 있어 초막에 들어갔다가

이런 생각을 이루게 되었네.

'나는 교만과 잠을 버리고

신통과 해탈을 구해야 한다'고.                                           

 

61.

자기 스스로를 볼 줄 아는 사람은

남의 보는 사람이나 못 보는 사람도 다 볼 줄 알고

자기 스스로를 보지 못하는 사람은

남의 못 보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도 보지 못한다.

                                                                                 

62.<vajji­-puttat ­thera=""></vajji­-puttat>

숲 속에 버려진 나무 부스러기처럼

우리는 이 숲 속에 흩어져 사느니

많은 사람들 우리를 부러워하는 것

나쁜 곳에 사는 이가 천상 사람을 부러워하는 것 같네.

 

63.<pak-­khat ­thera=""></pak-­khat>

죽은 사람은 떨어지고

욕심 있는 사람은 떨어졌다 다시 오네.

나는 할 일 마치고 즐길 것 즐기나니

안락은 안락을 잇따라 오네                                                                            

* 어느 장로는 나무 밑에 앉아 걸식한 밥을 먹으려 하였다.

때에 많은 솔개들이 날아와

서로 다투면서 장로의 밥을 빼앗아 갔다.

장로는 이것을 보고 도를 깨달았다.

 

64.ṇ-­ḍaññat ­thera>

나는 나무 이름*1) 을 가진 이를 어머니로 하고

흰 기*2) 아버지로 하여 태어났으며

기*3) 를 버리고 또 기*4) 에 의하여

큰 기*5) 를 멸망시켰네.                                                                                             

*1. 장로의 어머니는 암바팔리라는 유녀(遊女)이다.

암바팔리는 망고의 과실을 뜻하기 때문에

나무 이름을 가진 이를 어머니로 하였다는 .

*2. 빔비시라왕을 가리킴. 기는 왕가의 표시이다.

*3. 기는 탐욕을 뜻함.

*4. 기는 지혜를 뜻함.

*5. 기는 마왕 파아피야스를 가리킴.

 

65.< Ukkhepa­-ka-­ta-­vacchat ­thera>

욱케에파카타밧쟈는

여러 해 동안 그의 쌓아 두었던 것

편안히 앉아 매우 기뻐하면서

중생들을 위해 설명해 주네. 

 

66.<meghi-­yat ­thera=""></meghi-­yat>

모든 법문에 숙통한 부처님은 

나를 위해 가르침을 드리웠네.

나는 그 법을 듣고 즐겨 그 곁에 있으면서

삼명(三明)* 을 통달하고 불교를 성취하였어라.                                                                             

 * 삼명: 아라한의 지혜에 갖추어 있는 자재하고 묘한 작용.

1. 숙명명(宿命明) : 자기와 남의 지난 세상[前生] 아는 .

2. 천안명(天眼明) : 자기나 남의 다음 세상을 아는 .

3. 누진명(漏盡明) : 지금 세상의 고통을 알아 번뇌를 끊는 지혜.

 

67.<ekadham-­ma-­savanī­-yat ­thera=""></ekadham-­ma-­savanī­-yat>

나는 모든 번뇌를 살아 없애고

모든 생존을 끊어 버리고

생사의 바퀴돌이 끊어 없애었나니

이제 내게는 다시 나는 일 없으리.                                                                                     

 

68.< Eku­-dāniyat ­thera>

훌륭한 마음으로 방일하지 않고

적멸의 도를 닦는 지혜로운 이

그는 항상 고요하고 바른 생각이 있어

아무런 슬픔이나 근심이 없네.                                                                                       

 

69.

나는 부처님의 말씀하시는

큰 맛이 있는 그 큰 법문 듣고

열반에 이르려고 도를 행했네.

그는 안온한 길에 숙달한 사람일세.                                                                     

  

70.ṇṇat ­thera>

여기서는 계율이 제일이 되고

또 지혜로운 사람이 최상이어라.

인간에서나 천상에서나

계율과 지혜 있는 이에게는 승리가 있네.                                                               

 

71.<vaccha-­pālat­ thera=""></vaccha-­pālat­>

아주 미세하고 미묘한 이치 보아

지혜롭고 또 그 행동 겸손하며

부처님 섬기기를 잘 익히는 사람

그는 열반 얻기 어렵지 않네.                                                         

 

72.<Ātumat ­thera>

마치 저 어린 나무 꼭대기의

우거진 가지를 버리기 어려운 것처럼

내가 아내 맞이하는 것 그와 같나니

용서하라. 나는 이제 집을 떠났네.                                                   

 *그를 장가 보내려

그는 그것을 거절하고 집을 떠났다.

 

73.ṇavat ­thera> 

늙어 고통하고 앓다 죽는 것 보고

목숨이 거의 다한 이를 보고서

나는 온갖 즐거운 탐욕 버리고

집을 떠나서 득도(得道)하였어라.

                                                         

74.<suyāma­-nat­ thera=""></suyāma­-nat­>

탐욕과 분노,

혼침(昏沈)과 나태,

희롱과 의혹,

비구에게는 이런 것 모두가 있지 않아라.                                                   

 

75.<susāradat ­thera=""></susāradat>

수행이 좋은 사람 보는 것 좋네.

의심은 풀리고 지혜는 늘어나나니.

그는 우자(愚者)를 현자(賢者)로 만들어

그러므로 선인(善人)과 모이는 것은 좋을세.                                                          

 

76.<piyañ-­jahat ­thera=""></piyañ-­jahat>

일어난 이들 속에서는 너머지고

너머진 이들 속에서는 일어나라.

안정하지 못한 이들 속에서는 안정하고

즐기는 이들 속에서는 즐기지 말라.                                                   

 

77.<hatthā-­roha-­puttat ­thera=""></hatthā-­roha-­puttat>

그 옛날, 내 마음은 욕망을 따르고

즐기는 대로 따라 떠돌았으나

지금 나는 그것을 제어했나니

갈구리로 미친 코끼리 제어하듯 하네.                                                           

 

78.ṇḍa-­sirat­ thera>

나는 많은 생(生) 동안

생사(生死)의 세계를 떠돌아다녔으나

지금은 그 괴로움에서 생긴

괴로움의 요소가 정지 되었네.                                               

 

79.<rak­-khi-­tat ­thera=""></rak­-khi-­tat>

나의 탐욕은 모두 버리어졌고

분노도 모두 버려졌으며

어리석음도 모두 버려졌거니

나는 청량하여 열반을 얻었네.                                          

 

80.

 내가 지은 업은

적은 것이나 큰 것이나

모두 다 끊어졌거니

이제 내게는 다시 태어나는 일 없어라.

                                      

81.<samiti-­guttat ­thera=""></samiti-­guttat>

옛날 다른 생(生)에서

내가 범한 나쁜 업은

여기서 그 갚음 받아야 하지만

후생(後生)에 받을 소인(素因)은 없어졌네.                                                                                   

 

82.<kassa­-pat­ thera=""></kassa­-pat­>

아들아, 너는

걸식하기 쉽고

안전하여 두려움이 없는 곳으로 가라.

슬픔과 근심에 시달리지 말라.                                                                       

 * 게송은 카샤파 장로의 어머니가

장로의 출가하여 떠나는 것을 전송하는 글이다.

 

83.<sīhat ­thera=""></sīhat>

사자여, 너는 부지런히 정진하여

밤이나 낮이나 게으르지 말고

온갖 선한 법 닦아 익히어

네 가지 요소로 된 그 몸 빨리 버려라.                                                                            

 * 이것은 부처님이 사자 장로를 훈계하신 글이다.

 

84.<nītat­ thera=""> </nītat­>

한 밤 내 편히 잠 자고

낮에는 이야기 즐기고

어리석은 사람아, 너는 언제나

그 고뇌를 없애려 하느냐.                                                                                 

* 게송은 부처님이 니이타 장로를 훈계하신 글이다.

 

85.<Sunā-­gat ­thera>

마음 속으로 교묘하게

멀리 떠난 그 묘한 맛 알고

선정과 지혜와 지각 있는 사람은

세속을 떠난 즐거움 얻으리라.                                                                                   

 

86.<nāgitat­ thera=""></nāgitat­>

이 교훈 이외의 다른 많은 외도들의 교설은 

이 교훈처럼 열반으로 인도하는 것 아니네.

그와 같이 부처님은 중생을 교훈하시나니

마치 자기 손바닥을 보이시 듯하네.

                                                                                  

87.ṭ-­ṭhat ­thera>

모든 요소를 열심히 보고

모든 생존을 부셔 버리고

생사(生死)의 바뀌돌이 끊어 버리었거니

이제 내게는 다시 나는 일 없어라.                                                                         

 

88.

나는 내 몸을

물에서 육지로 끌어올리지 못하고

큰 물에 떠내려 가면서

밝은 이치를 마침내 깨달았네.                                                                              

 

89.<devasabhat­ thera=""></devasabhat­>

수렁을 건너고

악마 경계 멀리하고

사나운 물결과 결박을 벗어나

나는 모든 교만을 다 없애었네.                                                                                   

 

90.<sāmi­-dattat ­thera=""></sāmi­-dattat>

다섯 가지 요소를 낱낱이 알아

그 뿌리를 끊어 버리고

생사의 바뀌돌이 다 끊었거니

이제 내게는 다시 나는 일 없어.

                                                                                   

91.ṇṇa-­kat­ thera>

지금 내가 받은 이 음식처럼

이런 맛난 감로식(甘露食)은 생각한 일 없었나니

지견이 한량 없는 고오타마 부처님은

그러한 법을 연설하시네.                                                                         

 

92.<vijayat­ thera=""></vijayat­>

그 번뇌는 이미 다 끊어졌고

음식에는 집착하는 일이 없으며

행하는 곳은 공(空)과 무상(無常)과 해탈이거니

허공을 날으는 새처럼 그 자취 헤아리기 어렵네.                                                         

 

93.

에라카여, 욕망은 고통이다.

에라카여, 욕망은 즐거움이 아니다.

에라카여, 욕망을 구하는자,  그는 고통을 구하는 자다.

에라카여, 욕망을 구하지 않는 자는 고통을 구하지 않는 자니라.                                                             

94.<metta-­jit ­thera=""></metta-­jit>

세존, 석자(釋子),

길상자(吉祥者)에게 귀명하나니

이 최상 제일의 법은

최상 제일의 달자(達者)에 의해 설명 되었어라.                                                            

 

95.<cak-­khu-­pālat ­thera=""></cak-­khu-­pālat>

나는 눈을 다친 장님으로서

어려운 먼 길을 여행하나니

비록 길 가에 쓰러지는 일 있더라도

죄를 범한 사람과는 짝하지 않으리라.

                                                                  

96.ṇ-­ḍa-­sumanat ­thera>

한 송이 꽃을 희사함으로

8억년 동안

여러 하늘을 왕래하다가

그 남은 복으로 열반에 돌아왔도다.                                                                    

 

97.

황금과 충지(蟲指)로 만든

귀하고 값진 바리 버리고

흙으로 만든 바리를 가졌나니

이것이 나의 두 번째 관정(灌頂)일세.                                                   

*팃사 장로는 왕족으로서 출가한 사람이다.

 

98.<abhayat­ thera=""></abhayat­>

그 애욕을 생각하는 사람은

좋은 빛깔을 보고 바른 생각을 잃고

집착하는 마음은 그것을 받아들여

생존의 근본을 가져오는 온갖 번뇌 늘어난다.                                                           

 

99.<utti­-yat ­thera=""></utti­-yat>

그 애욕을 생각하는 사람은

좋은 소리를 듣고 바른 생각을 잃고

집착하는 마음은 그것을 받아들여

생사(生死)를 끌어오는 모든 번뇌 늘어난다.

                                                        

100.

바른 정근을 갖추어 갖고

네 곳에 항상 생각을 두고

해탈의 꽃에 덮힌 번뇌 없는 사람은

아주 고요히 쉰 열반으로 돌아간다.                                                       

 

101.

가정 생활 버렸어도 제 임무 못 다하고

입을 보습으로 삼고 배를 귀히 여겨 게으른 사람

그는 먹이를 가져 길리우는 큰 돼지처럼

쉬지 않고 그 어미 태에 드나니.                                             

 

102.

교만 때문에 속임 당하고

모든 행 속에 마음은 더럽혀져

이익과 손해에 흔들리는 사람은

저 삼매에 이르지 못하리.                                  

 

103.<bandhu-­rat ­thera=""></bandhu-­rat>

이것은 내게 필요 없는 것이다.

나는 법맛에 배 불러 안락하다.

나는 최상 제일의 이 맛을 먹었거니

저 독(毒)과는 친하는 일이 없네.                                 

 

104.<khi-­takat ­thera=""></khi-­takat>

내 몸은 가벼이 떠서

큰 기쁨과 즐거움을 접하네.

내 몸은 마치 저

바람에 불린 목화처럼 떠 오르네.                                  

 

105.<mali-­tavam-­bhat ­thera=""></mali-­tavam-­bhat>

그것을 싫어하여 집착하지 말고

즐겁더라도 거기서 떠나라.

눈이 밝아서 안정하는 사람은

이롭지 않는 일에 머무르지 않는다.                                      

 

106.<suheman-­tat ­thera=""></suheman-­tat>

백 가지 모양의 이치를 가진

백 가지의 그 표지(標識)가 있다.

한 표지만 보는 이는 우치한 사람이요,

백 가지 표지를 보는 이는 현명한 사람이다.                                    

 

107.<dhamma­-savat ­thera=""></dhamma­-savat>

나는 잘 생각하고 가정을 떠나

가정이 없는 중의 몸이 되었나니

그리하여 세 가지 밝음을 통달하고

부처님의 교훈을 성취하였네.                                 

 

108.<dhamma-­sa­ vapi-­tut="" ­thera=""></dhamma-­sa­>

나는 나이 백 이십에

비로소 집을 나와

세 가지 밝음을 통달하고

부처님의 교훈을 성취하였네.                                      

 

109.ṃgha-­rak-­khi-­tat­ thera>

이 혼자 있는 사람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익히지 않고

새로 난 숲 속의 사슴새끼처럼

모든 감관 마음대로 놀리며 산다.

     

110.

좋은 비에 새로이 젖은 나무

이 산 꼭대기에 우거져

멀리 떠나 생각을 숲에 둔 내게는

갈수록 좋은 일이 닥쳐 오나니.                                

 

111.

집 떠나기 어렵고 집에 있기 어렵고

법은 깊고 멀며 부자 되기 어렵나니

고생스런 생활에 이것 저것 할 것 없고

그저 항상 무상(無常)을 생각하는 것 가장 좋다.                                                       

 

112.<vaccha-­gottat ­thera=""></vaccha-­gottat>

나는 세 가지 밝음을 갖추었고

마음의 안식에 뛰어난 큰 선정가(禪定家)일세.

나는 이미 내 몸의 이익을 얻고

부처님의 교훈을 성취하였어라.                                                            -

 

113.<vana-­vacchat ­thera=""></vana-­vacchat>

맑은 물 있고 큰 반석 있고

검은 원숭이와 사슴들 떼를 짓고

세에라바아라 풀에 덮히어 있는

이 바위산들은 나를 즐겁게 하네.                                                            

 

114.<adhi-­muttat ­thera=""></adhi-­muttat>

비록 가정 생활을 버렸더라도

몸이 크고 살 찌는 것을 중하게 여겨

그 육신의 안락을 탐하는 이에게

어떻게 사문의 좋은 일이 있으랴.                                                        

 

115.<mahā­-nāmat ­thera=""></mahā­-nāmat>

많은 크타쟈 나무와

살라키 나무가 있는 산

숲에 덮인 유명한 네에사다카산 때문에

나는 아라한 과를 얻게 되었어라.                                                        

 

116.<pārā­-pariyat ­thera=""></pārā­-pariyat>

저 여섯 가지 경계를 버리고

여섯 가지 감관의 문을 지키고

스스로 제어하여 악의 근본을 끊어

나는 이제 번뇌가 다함에 이르렀네.                                                                    

 

117.

얼굴을 꾸미고 좋은 옷 입고

온갖 장식의 도구를 갖춘 채로

나는 세 가지 밝음을 얻고

부처님의 교훈을 성취하였네.                                                   

 

118.<kimi-­lat ­thera =""></kimi-­lat>

청춘이 무너지는 것은 마치 교령(敎令)이 내린 것 같아

그 여자 얼굴 빛은 딴 여자와 같았다.

집을 떠나 산 일이 없는 바른 생각의 이 사람은

자기를 추억하기 남을 추억하 듯 한다.                                                          

 

119.<vajji­-puttat ­thera=""></vajji­-puttat>

나무 그늘을 차지해 가지고

열반을 가슴 속에 간직해 두고

고오타마여, 좌선하라. 방일하지 말라.

너 부질없이 지껄여 무엇하려 하는가.                                                                       

 

120.아시닷타 장로> 

다섯 가지 요소를 낱낱이 알아

그 근본마저 끊어 버리고

괴로움은 모두 다 없어졌나니

나는 모든 번뇌가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