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34:1-S34:55. 제34상윳따 - 선정 상윳따 (Jhana samyutta)
- 삼매의 증득 경
- 삼매에 들어 머묾 경
- 삼매의 출정 경
- 삼매를 즐거워함 경
- 삼매의 대상 경
- 삼매의 영역 경
-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 경
-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 경
-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 경
-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 경
- 증득에 들어 머묾 경
- 증득에서 출정함 경 등
- 들어 머묾과 출정 경
- 들어 머묾과 즐거워함 경 등
- 출정과 즐거워함 경
- 출정과 대상 경 등
- 즐거워함과 대상 경
- 즐거워함과 영역 경 등
- 대상과 영역 경
- 대상과 마음을 기울임 경 등
- 영역과 마음을 기울임 경
- 영역과 정성을 다해 닦음 경 등
- 마음을 기울임과 정성을 다해 닦음 경
- 마음을 기울임과 끈기있게 닦음 경 등
- 정성을 다해 닦음과 끈기있게 닦음 경
- 정성을 다해 닦음과 적절하게 닦음 경
- 끈기있게 닦음과 적절하게 닦음 경
삼매의 증득 경(S34:1) Samādhisamāpatti-sutta
488) 『상윳따 니까야』에는 두 개의 「禪 상윳따」(Jhāna-saṃyutta)가 나타나고 있다. 하나는 이곳에 나타나는 「禪 상윳따」(S34)이고 다른 하나는 제6권에 나타나는 「禪 상윳따」(S53)이다. 두 상윳따 가운데 S53은 초선부터 제4선까지의 네 가지 선 즉 본삼매를 다루고 있고, 본 상윳따(S34)는 이러한 본삼매를 증득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래서 S34는 본삼매와 관계된 여러 중요한 과정들 즉 '증득(samāpatti)', '들어 머묾(ṭhti)', '출정(vuṭṭhāna)', '대상(ārammaṇa)' 등에 대해서 설하고 있다.
禪 혹은 삼매와 관계된 이러한 논의는 『앙굿따라 니까야』「히말라야 경」 (A6:24)과 「힘 경」 (A6:72)에서는 삼매의 증득, 들어 머묾, 출정, 즐거움(kallita), 영역 (gocara), [마음을] 기울이는 것(abhinīhāra)의 여섯 가지에 능숙함으로 나타나고 (설명은 A6:24 §2의 주해 참조), 「통제 경」 (A7:38)에서는 삼매에 능숙함을 넣어서 일곱 가지 주제로 나타난다. 본 상윳따에는 대상에 대해서 능숙함(ārammaṇa-kusala)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앙굿따라 니까야』의 경들에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아무튼 니까야에 나타나는 삼매 즉 神에 대한 이러한 논의들은 주석서와 아비담마에서 삼매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튼튼한 토대가 되고 있다.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숲의 아나타삔디까 원림(급고독원)에 머무셨다. …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264]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489) 하지만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89) “'삼매에 능숙함(samādhi-kusala)'이란 초선은 [일으킨 생각, 지속적인 고찰, 희열, 행복, 마음이 한 끝에 집중됨]이라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가졌고 (pañc-aṅgika) 제2선은 [희열, 행복, 마음이 한 끝에 집중됨]이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를 가졌다는 등으로 구성요소를 구분하는데 능숙함(aṅga-vavatthāna-kusala)을 말한다. '증득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patti-kusala)'이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hāsetvā) 유연하게 하여(kallaṃ katvā) 禪을 증득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SA.ii.352) 즉, 이론적으로 삼매에 대해서 잘 아는 것이 삼매에 능숙함이고, 실제로 그런 삼매의 경지에 들 수 있는 것을 증득에 능숙함이라고 주석서는 설명하고 있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도 능숙하지 못하고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하다.
비구들이여, 이 가운데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응유로부터 생 버터가 되고 생 버터로부터 정제된 버터가 되고 정제된 버터로부터 최상의 버터(제호, 醍醐)490)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490) '최상의 버터(제호, 醍醐)'는 sappi-maṇḍa를 옮긴 것이다. 본서 제2권 「십력 경」2(S12:22) §8에는 maṇḍa-peyya라는 단어가 나타나는데 최상의 음료로 옮겼다. 우유의 크림이나 진수(眞髓)를 뜻하는 maṇḍa에 대해서는 S12:22 §8의 주해를 참조할 것.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에 들어 머묾 경(S34:2) Samādhiṭhit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1)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도 능숙하지 못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다.
비구들이여, 이 가운데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한 자가 [265]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491) “'삼매에 들어 머묾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dhismiṃ ṭhitikusala)'이란 禪에 머무는데 능숙하지 못함인데, 일곱 번이나 여덟 번 손가락을 튀기는 순간만큼(satt-aṭṭha-accharā-matta)도 禪에 머물 수 없는 것을 말한다.”(SA.ii,352)
이것은 『무애해도』에 나타나는 다음과 같은 결심의 자유자재(adhiṭṭhānavasi)와 상응한다.
“그는 그가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때에 원하는 기간만큼 초선 등의 [기간을] 결심한다. 그는 그런 기간을 결심하는데 아무 어려움이 없다.”(Ps.i.100)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의 출정 경(S34:3) Samādhivuṭṭhān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2)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도 능숙하지 못하고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하다.
비구들이여, 이 가운데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492) “'삼매의 출정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dhismiṃ vuṭṭhānakusala)' 이란 禪으로부터 나오는데 능숙하지 못함이니, 처음에 결정한대로(yathā-pariccheda) 출정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SA.ii.352~353)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를 즐거워함 경(S34:4) Samādhikallavā-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3) … [266]
493) “'삼매를 즐거워함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dhismiṃ kallitakusala)'이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hāsetvā) 유연하게 하는데(kallaṃ katuṃ) 능숙하지 못함이다.” (SA.ii.353)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즐거워함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의 대상 경(S34:5) Samādhiārammaṇ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4) … ”
494) “삼매의 대상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dhismiṃ ārammaṇa-kusala)' 이란 까시나인 대상(kasiṇ-ārammaṇa)에 대해서 능숙하지 못한 것이다.”(SA.ii.353)
삼매 혹은 禪의 대상은 기본적으로 10가지 까시나 가운데 하나이다. 그래서 주석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까시나를 통해서 익힌 표상(uggaha-nimitta)을 취하고 이것을 닮은 표상(paṭibhāga-nimitta)으로 승화시켜 이 닮은 표상에 집중되는 것이 본삼매이다.(『아비담마 길라잡이』 147쪽과 763~764쪽(제9장 §16)과 『청정도론』 IV.31 이하 참조) 물론 이 익힌 표상과 닮은 표상은 까시나만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40가지 명상주제 각각을 통해서도 얻어진다.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대상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의 영역 경(S34:6) Samādhigocar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5) … ” [267]
495) “'삼매의 영역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dhismiṃ gocara-kusala)'이란 [삼매가 생겨나야 할(nipphāditabba) 영역인 - SAȚ.ii.254] 명상주제의 영역(kammaṭṭhāna-gocara)과, [마음챙김과 알아차림이 부족하여 - Ibid] 걸식의 영역(bhikkhācara-gocara)에 능숙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SA.ii,353)
한편 『앙굿따라 니까야 주석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삼매의 대상에 능숙함'이란 삼매에 적절하지 못하고(asappāya) 도움이 되지 않는(anupakāraka) 법들을 피하고 적절하고 도움이 되는 법들을 추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삼매의 표상의 대상(samādhi-nimitt-ārammaṇa)이다. 이것은 [무상 ·고 · 무아의] 삼특상의 대상이다(lakkhaṇ-ārammaṇa).'라고 아는 것도 삼매의 대상에 능숙함이라 한다.”(AA.ii.354)
여기서 삼매의 표상의 대상은 사마타의 대상이고 삼특상의 대상은 위빳사나의 대상이다. 이처럼 사마타[止]와 위빳사나[觀]의 대상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도 대상에 능숙함이라고 주석서는 정의하고 있다.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영역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 경(S34:7) Samādhiabhinīhār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6) … ”
496) 본경에 해당하는 주석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앙굿따라 니까야 주석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 능숙함(abhinīhāra-kusala)'이란 다음과 그 다음 단계의 증득에 들기 위해서(upari-upari-sampātti-samāpaijan-attha) 초선 등의 삼매로 [마음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그는 초선에서 출정하여 (vuṭṭhāya) 제2선에 들고 제2선에서 출정하여 … 제3선에서 출정하여 제4선에 든다는 말이다.” (AA.iii.354~355)
즉 초선부터 제4선까지 차례대로 다 드는데 능숙한 것을 말한다.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sattamaṃ.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 경(S34:8) Samādhisakkaccakār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7) … ” [268]
497)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dhismiṃ sakikaccakāri)'이란 禪에 들기 위해서(appetuṃ) 정성을 다하지 않는다는 말이다.”(SA.ii.353)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 경(S34:9) Samādhisātaccakār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 경(S34:10) Samādhisappāyakār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498) … ” [269]
498)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 능숙하지 못함(na samādhismiṃ sappāyakāri)'이란 삼매에 적절하고 도움이 되는 법(upakāraka-dhamma)들을 완성 할 수 없다는 말이다.”(SA.ii.353)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증득에 들어 머물 경(S34:11) Samāpattiṭhit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하지 못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다.
비구들이여, 이 가운데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응유로부터 생 버터가 되고 생 버터로부터 정제된 버터가 되고
정제된 버터로부터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하고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증득에서 출정함 경 등(S34:12~19) Samāpattivuṭṭhān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270]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2) …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3) …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4) …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271]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5) …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6) …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7) …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8) …
삼매의 증득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19) … ”[272]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증득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들어 머묾과 출정 경(S34:20) thitivuṭṭhān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지 못하고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하다.”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들어 머묾과 즐거워함 경 등(S34:21~27)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273]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1) …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2) …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3) …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에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4) …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5) …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6) …
삼매에 들어 머묾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7)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에 들어 머묾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출정과 즐거워함 경(S34:28) Vuțțhānakallit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274]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즐거워함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출정과 대상 경 등(S34:29~34)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29) …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S34:30) …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31) …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32) …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33) …
삼매의 출정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S34:34)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출정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즐거워함과 대상 경(S34:35) Kallita-ārammaṇa-sutta
3. “비구들이여, [275]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를 즐거워함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대상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즐거워함과 영역 경 등(S34:36~40)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36) …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37) …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38) …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39) …
삼매를 즐거워함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0)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를 즐거워함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대상과 영역 경(S34:41) Ārammaṇagocar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만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대상에도 능숙하고 삼매의 영역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대상과 마음을 기울임 경 등(S34:42~45)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만 [276]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2) …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3) …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4) …
삼매의 대상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5)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대상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영역과 마음을 기울임 경(S34:46) Gocara-abhinīhāra-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영역에도 능숙하고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영역과 정성을 다해 닦음 경 등(S34:47~49)
3.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7) …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8) …
삼매의 영역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49)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의 영역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마음을 기울임과 정성을 다해 닦음 경(S34:50) Abhinīhārasakkaccakār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만 [277]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정성스럽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마음을 기울임과 끈기 있게 닦음 경 등(S34:51~52)
3.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51) …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S34:52)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로 마음을 기울임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정성을 다해 닦음과 끈기 있게 닦음 경(S34:53) Sakkaccakārisātaccakār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정성을 다해 닦음과 적절하게 닦음 경(S34:54) Sakkaccakārīsappāyakār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 ”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
최상의 버터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를 정성을 다해 닦음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끈기 있게 닦음과 적절하게 닦음 경(S34:55) Sātaccakārīsappāyakāri-sutta
3. “비구들이여, 네 부류의 참선하는 자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는 능숙하지만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는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도 능숙하지 못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하지 못하다.
비구들이여, [278] 여기 어떤 참선하는 자는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하다.
비구들이여, 이 가운데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4.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응유로부터 생 버터가 되고 생 버터로부터 정제된 버터가 되고
정제된 버터로부터 최상의 버터(제호, 醍醐)가 만들어지나니, 그것을 으뜸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삼매를 끈기 있게 닦음에도 능숙하고 삼매를 적절하게 닦음에도 능숙한 자가 네 명의 참선하는 자들 가운데서 으뜸이요 가장 뛰어나고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고 가장 탁월하다."
5.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은 흡족한 마음으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하였다.
선(禪) 상윳따(S34)가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