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2:12:1~A2:12:11 제12장 발원 품(Āyācana-vagga)
- 발원 경1
- 발원 경2
- 발원 경3
- 발원 경4
- 파 엎음 경1
- 파 엎음 경2
- 파 엎음 경3
- 파 엎음 경4
- 자기 마음 경
- 분노 경
- 길들임 경
발원 경1(A2:12:1) Āyācana-sutta
“비구들이여, 신심 있는 비구가 바르게 원한다면 이렇게 원해야한다.
'나도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처럼 되기를!'
비구들이여, 이들은 내 비구 제자들의 모범이고 표준이니 다름 아닌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이다.”
발원 경2(A2:12:2)
“비구들이여, 신심 있는 비구니가 바르게 원한다면 이렇게 원해야한다.
'나도 케마 비구니309)와 웁빨라완나 비구니처럼 되기를!'
비구들이여, 이들은 내 비구니 제자들의 모범이고 표준이니
다름아닌 케마 비구니와 웁빨라완나이다.”
309) 본경 이하에 나타나는 사람들은 본서 「하나의 모음」 (A1:14:1~80)의 주해들을 참조할 것.
발원 경3(A2:12:3)
“비구들이여, 신심 있는 남자 신도가 바르게 원한다면 이렇게 원해야 한다.
'나도 찟따와 알라위의 핫타까310)처럼 되기를!'
비구들이여, 이들은 내 남자 신도 제자들의 모범이고 표준이니
다름 아닌 찟따와 알라위의 핫타까이다.”
310) 본서 「일라와까 경」(A3:34) §1의 주해를 참조할 것.
발원 경4(A2:12:4)
“비구들이여, 신심 있는 여자 신도가 바르게 원한다면 이렇게 원해야 한다.
'나도 쿳줏따라와 웰루깐따끼 마을의 난다마따처럼 되기를!'
비구들이여, 이들은 내 여자 신도 제자들의 모범이고 표준이니
다름 아닌 쿳줏따라와 웰루깐따끼 마을의 난다마따이다."
파 엎음 경1(A2:12:5) Khata-sutta
1. “비구들이여, 두 가지 속성을 가진 어리석고 영민하지 못하고 참되지 못한 사람은
자신을 파서 엎어버리고 파멸시킨다.
그는 비난받아 마땅하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으며 많은 악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잘 알지도 못하고 충분히 검증하지도 않고서
칭찬받을 만한 가치가 없는 사람을 칭찬한다.
잘 알지도 못하고 충분히 검증하지도 않고서
칭찬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속성을 가진 어리석고 영민하지 못하고 참되지 못한 사람은 자신을 파서 엎어버리고 파멸시킨다.
그는 비난받아 마땅하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으며 많은 악덕을 쌓는다.”
2. “비구들이여, 두 가지 속성을 가진 현명하고 영민하고 참된 사람[眞人]은
자신을 파서 엎지 않고 파멸시키지 않는다.
그는 비난받을 일이 없고 지자들에게 비난받지 않고 많은 공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잘 알고 충분히 검증한 뒤 칭찬받을 만한 가치가 없는 사람은 비난한다.
잘 알고 충분히 검증한 뒤 칭찬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은 칭찬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속성을 가진 현명하고 영민하고 참된 사람은
자신을 파서 엎지 않고 파멸시키지 않는다.
그는 비난받을 일이 없고 지자들에게 비난받지 않고 많은 공덕을 쌓는다.”
파 엎음 경2(A2:12:6)
1. “비구들이여, 두 가지 속성을 가진 어리석은 [사람은] … 많은 악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잘 알지도 못하고 충분히 검증하지도 않고서 신뢰할 만한 가치가 없는 것을 신뢰한다.
잘 알지도 못하고 충분히 검증하지도 않고서 신뢰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신뢰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속성을 가진 어리석은 [사람은] … 많은 악덕을 쌓는다.”
2. “비구들이여, 두 가지 속성을 가진 현명한 [사람은] 많은 공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잘 알고 충분히 검증한 뒤 신뢰할 만한 가치가 없는 것은 신뢰하지 않는다.
잘 알고 충분히 검증한 뒤 신뢰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신뢰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속성을 가진 현명한 [사람은] … 많은 공덕을 쌓는다.”
파 엎음 경3(A2:12:7)
1. “비구들이여, 두 [사람]에 대해 잘못 행동하는 어리석은 [사람은] … 많은 악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어머니와 아버지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사람]에 대해 잘못 행동하는 어리석은 [사람은] … 많은 악덕을 쌓는다.”
2. “비구들이여, 두 [사람]에 대해 바르게 행동하는 현명한 [사람은] … 많은 공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어머니와 아버지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사람]에 대해 바르게 행동하는 현명한 [사람은] … 많은 공덕을 쌓는다.”
파 엎음 경4(A2:12:8)
1. “비구들이여, 두 [사람]에 대해 잘못 행동하는 어리석은 [사람은] … 많은 악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여래와 여래의 제자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사람]에 대해 잘못 행동하는 어리석은 [사람은] … 많은 악덕을 쌓는다.”
2. “비구들이여, 두 [사람]에 대해 바르게 행동하는 현명한 [사람은] … 많은 공덕을 쌓는다.
어떤 것이 둘인가? 여래와 여래의 제자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사람]에 대해 바르게 행동하는 현명한 [사람은] … 많은 공덕을 쌓는다.”
자기 마음 경(A2:12:9) Sacitt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자기 마음이 깨끗한 것311)과 세상의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법이 있다."
311) “'자기 마음이 깨끗한 것(sacitta-vodāna)'은 여덟 종류의 증득[等至, samāpatti, 초선부터 비상비비상처까지의 8가지 삼매]을 뜻하고,
'세상의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것'은 세상에 있는 형상 등의 법들 가운데 어떤 하나의 법에도 집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처럼 두 번째 것은 취착하지 않음(anupādāna)을 뜻한다.”(AA.ii.159)
분노 경(A2:12:10) Kodha-sutta312)
312) 본경의 제목은 권말 목록(uddāna)에 나타나지 않는다. 앞 경의 경우를 참조해서 역자가 임의로 붙인 것이다.
“비구들이여, 두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분노와 원한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법이 있다.”
길들임 경(A2:12:11) Vinay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분노를 길들임과 원한을 길들임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