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앙굿따라 니까야

A2:7:1~A2:7:13 제7장 행복 품(Sukha-vagga)

Daisy청량심 2023. 6. 10. 08:47

-            재가 경

-            감각적 요망 경

-            재생의 근거 경

-            번뇌 경

-            세속 경

-            성스러움 경

-            육체적 행복 경

-            희열 경

-            기쁨 경

-            삼매 경1

-            삼매 경2

-            삼매 경3

-            삼매 경4

 

 

재가 경 (A2:7:1) Gihi-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재가의 행복과 출가의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출가의 행복이 뛰어나다.

 

감각적 욕망 경(A2:7:2) Kām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감각적 욕망에서 오는 행복과 출리(出維)에서 오는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출리에서 오는 행복이 뛰어나다.”

 

재생의 근거 경(A2:7:3) Upadhi-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재생의 근거에 바탕을 둔289) 행복과 재생의 근거를 벗어난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행복 가운데 재생의 근거를 벗어난 행복이 뛰어나다.

 

289) '재생의 근거에 바탕을 둔 행복(upadhi-sukha)'은 삼계에 속하는 세간적인 행복이고 '재생의 근거를 벗어난 행복(nirupadhi-sukha)'은 출세간적인 행복이다.(AA.ii.153)

복주서는 여기서 재생의 근거(upadhi)는 오취온(pañc-upādāna-kkhandhā)을 뜻하고그 오취온에 바탕을 둔 행복이 재생의 근거에 바탕을 둔 행복(upadhi-sukha)이고그것에 반대되는 것이 재생의 근거를 벗어난 행복(nirupadhi-sukha)이라고 설명하고 있다.(AAȚ.ii.43)

 

번뇌 경(A2:7:4) Āsav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번뇌에 물들기 쉬운 행복과 번뇌를 여읜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번뇌를 여읜 행복이 뛰어나다.

 

세속 경(A2:7:5) Sāmis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세속적인 행복290)출세간의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출세간의 행복이 뛰어나다.

 

290) 세속적인 행복(sāmisa-sukha)’이란 오염된 행복(sakilesa), 즉 윤회를 가져오는 행복(vaṭṭagāmi-sukha)이다. ‘출세간의 행복(nirāmisa-sukha)’은 오염되지 않은 행복즉 도와 과가 함께한 윤회를 벗어나는 행복이다.(AA.ii.153)

 

성스러움 경 (A2:7:6) Ariy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성스러운 행복과 성스럽지 못한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성스러운 행복이 뛰어나다.

 

육체적 행복 경(A2:7:7) Kāyik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육체적인 행복과 정신적인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정신적인 행복이 뛰어나다.

 

희열 경(A2:7:8) Pīti-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희열과 함께하는 행복과 희열과 함께하지 않는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희열과 함께하지 않는 행복이 뛰어나다.

 

기쁨 경(A2:7:9) Sāt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기쁨의 행복과 평온의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평온의 행복이 뛰어나다.

 

삼매 경1(A2:7:10) Samādhi-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삼매와 연결된 행복과 삼매와 연결되지 않은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삼매와 연결된 행복이 뛰어나다.

 

삼매 경2(A2:7:11)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희열이 있는 선()을 대상으로 한 행복291)희열이 없는 선()을 대상으로 한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희열이 없는 선을 대상으로 한 행복이 뛰어나다.

 

291) “’희열이 있는 선()을 대상으로 한 행복(sappītikārammaa sukha)은 희열을 가진 두 가지 (즉 초선과 제2)을 반조하는 자에게 생기는 행복이다.(AA.ji.153)

 

삼매 경3(A2:7:12)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기쁨이 있는 禪을 대상으로 한 행복과 평온이 있는 禪을 대상으로 한 행복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평온이 있는 선을 대상으로 한 행복이 뛰어나다.

 

삼매 경4(A27:13)

“비구들이여, 두 가지 행복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물질을 대상으로 한 행복292)비물질(정신)을 대상으로 한 (arūpārammaṇa) 행복293)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행복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두 가지 행복 가운데 비물질을 대상으로 한 행복이 뛰어나다.

 

292) 여기서 '물질을 대상으로 한 행복(rūpārammaa sukha)'은 색계의 4을 대상으로 한 행복이나 혹은 어떤 물질이든 그것에 대해서 생긴 행복이다.(Ibid)

293) '비물질을 대상으로 한 행복(arūpārammaa sukha)'무색계 (arūpāvacarajjhāna)을 대상으로 한 행복이나 혹은 어떤 비물질(정신)이든 그것에 대해서 생긴 행복이다. (Ibid)